항암

Dr. Hark Kim's cancer chemotherapy, immunotherapy, and targeted therapy blog

첨단 위암 항암치료 (김학균의 블로그)

자료실

면역치료제의 부작용

김학균 2023. 5. 8. 10:27

면역치료제 부작용 발생 시점은 치료 시작 2개월 정도 후가 가장 흔하나, 빠르면 1개월 후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매우 흔한 (10명 중 1명 이상)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피곤
  • 설사
  • 피부 발진, 건조증, 및 가려움
  • 구역, 구토 및 복통
  • 팔이나 다리가 붓는 증상 (부종)
  • 상기도 감염 (감기) 같은 증상
  • 식욕 감퇴
  • 숨가쁨, 기침
  • 근육과 관절의 통증
  • 발열
  • 간염 (식욕 저하, 피부 또는 눈 흰자위의 황달, 짙은 소변, 중증 구역 및 구토, 오른쪽 상복부의 통증, 피부 가려움) 

 

흔한 (100명 중 1명 이상)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폐의 염증 (간질폐렴): 증상은 독감이나 폐렴과 유사할 수 있고 기침의 새로운 발생이나 악화, 숨가쁨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발열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갑상선 이상
    • 갑상선 저하 (갑상선기능저하증): 증상으로는 피로, 추위에 대한 민감성 증가, 변비, 피부 건조, 설명되지 않는 체중 증가, 부어오른 얼굴, 근육 쇠약, 낮은 심박수, 모발 가늘어짐, 기억력 장애가 포함됩니다.
    • 갑상선 증가 (갑상선기능항진증): 증상으로는 불안이나 초조, 체중 감소, 빈번한 배변과 무른 변, 호흡곤란, 열감이 포함되며, 심장 두근거림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신장손상
  • 신경계 문제: 증상은 다리, 팔 또는 얼굴의 비정상적인 쇠약, 손이나 발의 마비 또는 저림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신경계 염증이 중증이 되어 신경세포의 손상이나 신경과 근육 사이의 통신 파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증근무력증 도는 길랑바레 증후군 등): 겹보임, 삼키는 데 어려움, 쇠약감, 호흡 곤란
  • 주입 관련 반응 및 알레르기 반응: 시험약을 주입하는 중이나 주입한 후에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발열이나 오한 및 혈압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얼굴, 입술 및 목구멍 부기 또는 중대할 수 있는 호흡 곤란이 포함됩니다.
  • 장의 염증 (대장염). 이는 복통 및 피가 섞이거나 섞이지 않은 설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발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드물게는 중대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장벽의 찢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쉰 목소리
  • 배뇨 시 통증
  • 야간 발한
  • 구강 아구창
  • 치아 및 구강 연조직 감염 

 

흔하지 않은 (100명 중 1명 미만)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췌장의 염증 (췌장염). 췌장염은 대개 지속적인 상복부 통증(때때로 음식 및 음료 섭취에 의해 악화됨), 구역, 구토 및 전신 쇠약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췌장염은 일반적으로 간단한 조치로 안정되지만 중대한 병태가 될수 있으며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혈액 검사 (췌장과 관련된) 에서 리파아제와 아밀라아제 수치가 증가할 수 있지만 증상이 전혀 없거나 상태가 좋지 않다고 느끼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리파아제와 아밀라아제는 췌장의 기능을 측정하는 효소 또는 단백질 표지자입니다. 드물게 이러한 증가는 췌장염과 연관된 것일 수 있습니다.
  • 부신 문제 (부신기능부전): 증상에는 위 통증, 구토, 근육 쇠약 및 피로, 우울증, 저혈압, 체중 감소, 신장 문제, 기분 및 성격의 변화가 포함됩니다.
  • 근육의 염증 또는 근육을 공급하는 혈관과 같은 관련 조직의 염증 (근육염/다발근육염). 증상으로는 근육 약화와 통증, 서 있거나 걸을 때 피로감, 몇 주 후에도 해소되지 않는 근육통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매우 드문 (1,000명 중 1명 미만)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혈당 수치 증가 (제1형 당뇨병):  체중 감소, 배뇨 증가, 갈증 증가, 배고픔 증가
  • 뇌하수체 문제 (뇌하수체기능저하증): 두통, 목마름 및 시각 문제 또는 복시, 여성의 모유 분비 또는 불규칙한 월경 주기.
  • 심장 근육의 염증 (심근염). 증상으로는 흉통, 빠르거나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 숨가쁨, 다리 붓기.
  • 기타
    • 피부, 입, 기타 점막의 물집
    • 안구의 중간층 또는 각막 및 시신경 염증
    • 뇌 또는 뇌와 척수를 덮는 막의 염증
    • 혈관염 및 류마티스 질환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치료와 음식  (0) 2023.05.09
항암치료의 부작용  (1) 202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