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

Dr. Hark Kim's cancer chemotherapy, immunotherapy, and targeted therapy blog

첨단 위암 항암치료 (김학균의 블로그)

부작용 2

면역치료제의 부작용

면역치료제 부작용 발생 시점은 치료 시작 2개월 정도 후가 가장 흔하나, 빠르면 1개월 후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매우 흔한 (10명 중 1명 이상)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곤 설사 피부 발진, 건조증, 및 가려움 구역, 구토 및 복통 팔이나 다리가 붓는 증상 (부종) 상기도 감염 (감기) 같은 증상 식욕 감퇴 숨가쁨, 기침 근육과 관절의 통증 발열 간염 (식욕 저하, 피부 또는 눈 흰자위의 황달, 짙은 소변, 중증 구역 및 구토, 오른쪽 상복부의 통증, 피부 가려움) 흔한 (100명 중 1명 이상)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폐의 염증 (간질폐렴): 증상은 독감이나 폐렴과 유사할 수 있고 기침의 새로운 발생이나 악화, 숨가쁨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발열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상선 이상 갑상..

자료실 2023.05.08

항암치료의 부작용

(아래 내용은 국립암센터 복약상담실 항암치료안내서를 근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위장관계에 미치는 영향 01 메스꺼움과 구토 메스꺼움과 구토는 암환자에게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 중의 하나입니다. 모든 항암제가 메스꺼움과 구토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투여되고 있는 약물의 종류, 용량, 투여기간, 연령, 이전에 받은 치료 경험 등 개인의 특성에 따라 그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메스꺼움/구토를 예방하기 위해 구토 억제제가 투여됩니다. 구토 억제제는 구토 유발 정도에 따라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 약제를 투여하며 증상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구토 억제제를 처방대로 잘 복용해야 하며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와 상의합니다. ※ 메스꺼움과 구토를 조절하거나 예방하..

자료실 2023.05.08